티스토리 뷰

2021.09.06 - [백만장자프로젝트] - 5000억대 자산가가 말해주는 '좋은 돈이 찾아오게 하는 7가지 비법'

 한 나라의 경제를 살펴볼 때 더 이상 그 한 나라 내부 사정만으로는 그 전망을 내다보기 힘들어진 글로벌경제시대입니다. 그를 가늠해보는 수치인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의 증가율을 통해 경제성장률을 같이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GDP

GDP=소비consumption+투자investment+정부지출government spending+순수출net export(수출-수익, 무역수지)

간단하게 얘기하자면 한 나라 안에서 만들어진 가치(돈)의 총합이라고 보면 됩니다.

 

2021년 기준 GDP top 10 국가 경제성장률

 2000년대부터 우리가 선진국이라 알고 있는 북미, 유럽 국가들은 20년간의 경제성장률에서도 비슷한 수치를 보이며 그래프 라인들이 모여있는 것이 보입니다. 2000년대 초반부터 꾸준히 높은 성장율을 보이던 중국, 인도, 한국은 2008년 경제 위기에도 플러스+ 성장률이 보입니다. 2010년대 들어와서는 가파르던 성장세가 주춤하지만 여전히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중국, 인도는 5% 이상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때부터 한국은 점차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며 중발전의 길을 갑니다. 하지만 다른 나라들과는 다르게 변동이 크지 않은 2-3% 성장률을 가져갑니다.

 

TOP 3

 2021년 기준 미국, 중국, 일본이 가장 높은 GDP를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은 폭발적인 성장율을 보여주다 점차 안정된 성장의 길을 가고 있습니다. 코로나 판데믹 위기 속 수 많은 국가들이 -마이너스 성장으로 들어섰을 때 여전히 +성장률을 보이며 앞으로의 전망이 기대되는 모습입니다. 위의 Top 10 그래프와 비교 했을 때 미국의 경제가 다른 나라의 경제에 굉장히 깊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그래프에도 드러납니다. 일본은 0, 1%대를 근근히 유지하며 저성장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한국 GDP 성장률 1997-2020

 한국의 경제하면 IMF 사태를 빼놓을 수 없어 1997년 이래의 수치도 더해보았습니다. 한국에는 23년간 3번의 경제 위기가 왔습니다. IMF 이후 고성장을 하던 한국은 2008년 이후 중성장의 길로 들어섭니다. 2020년 코로나 판데믹 위기때 -성장을 했지만 다른 국가들에 비하면 크게 하락한 수치는 아니었습니다. 점차 안정되는 그래프를 보여주는 한국이 2020년대에 보여줄 그래프는 어떨지 많은 생각이 들게 합니다.

 

 제가 관심 있어하는 국가들 중 5-10% 성장을 하는 국가들을 추려보았습니다.

 

동남아시아권 국가들 역시 5-10% 고성장을 달리는 국가들이 많이 보입니다. 요새 관심이 많이 쏠리는 베트남은 어떤 경제 위기 속에서도 5% 근처의 꾸준한 고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코로나 위기 속 중국과 더불어 몇 안 되는 +성장을 한 국가네요.

 

이렇게 나라별 GDP는 IMF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GDP 증가율 뿐 아니라, GDP 총생산량, 취업률, 실업률 등 다양한 나라의 통계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https://www.imf.org/en/Publications/WEO/weo-database/2021/April

 또 다른 경제글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셔도 좋습니다 :)

2021.09.06 - [백만장자프로젝트] - 5000억대 자산가가 말해주는 '좋은 돈이 찾아오게 하는 7가지 비법'

 

5000억대 자산가가 말해주는 '좋은 돈이 찾아오게 하는 7가지 비법'

 미국에 '스노우폭스'라는 도시락 사업하는 회사가 있습니다. 이는 김승호 회장이 십수년간 실패한 끝에 이뤄낸 성공적인 신화인데요. 200여만원의 창업자금으로 지금은 그는 성공한 사업가로 1

darangshi.tistory.com

 

 경제공부를 하다보면 숫자, 수치를 정말 많이 접하게 됩니다. 그 중에서도 기본이 되는 GDP 증감율을 오늘 살펴보았습니다. 차근 차근 경제지식을 쌓아나가며 경제적 독립을 얻는 그 날까지 응원하겠습니다 :D

댓글